다섯째 날 법문에 인용된 빠알리 구절

Jati'pi dukkha; jara'pi dukkha;
자띠삐 둑카; 자라삐 둑카;
vyadhi'pi dukkha; maranam'pi dukkham;
뷔야디삐 둑카; 마라낭삐 둑캉;
appiyehi sampayogo dukkho;
압삐예히 삼빠요고 둑코;
piyehi vippayogo kukkho;
삐예히 윕빠요고 꾹코;
yam'p'iccham na labhati tam'pi dukkham;
양삣짱 나 라바띠 땅삐 둑캉;
sankhittena panc'upadanakkhandha dukkha.
산킷떼나 빤쭈빠다낙칸다 둑카.

--Dhamma-cakkappavattana Sutta,
--담마-짝깝빠왓따나 숫따,
Samyutta Nikaya, LVI (XII). ii. 1.
상윳따 니까야, LVI (XII). ii. 1.

태어남은 괴로움이다; 늙어감은 괴로움이다;
아픔은 괴로움이다; 죽음은 괴로움이다;
불쾌한 것과 가까이 하는 것은 괴로움이다;
유쾌한 것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은 괴로움이다;
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은 괴로움이다;
요컨대 오온(다섯 덩어리)에 집착하는 것은 괴로움이다.


Paticca-sumappada
빠띳짜-사뭅빠다

Anuloma:
아눌로마:

Avijja-paccaya saṅkhārā;
아윗자-빳짜야 상카라
saṅkhārā-paccaya vinnanam;
상카라-빳짜야 윈냐낭
viññāṇa-paccaya nama-rupam;
윈냐나-빳짜야 나마-루빵
nama-rūpa-paccaya salayatanam;
나마-루빠-빳짜야 살라야따낭
salayatana-paccaya phasso;
살라야따나-빳짜야 팟소
phassa-paccaya vedanā;
팟사-빳짜야 웨다나
vedanā-paccaya tanha;
웨다나-빳짜야 딴하
tanha-paccaya upadanam;
딴하-빳짜야 우빠다낭

upadana-paccaya bhavo;
우빠다나-빳짜야 바오

bhava-paccaya jati;
바오-빳짜야 자띠
jati-paccaya jara-maranam-
자띠-빳짜야 자라-마라낭-
soka-parideva-
소까-빠리데와-
dukkha-domanassupayasa
둑카-도마낫수빠야사
sambhavanti.
삼바완띠
Evame-tassa devalassa
에와메-땃사 데와랏사
dukkhakkhandhassa
둑카칸닷사
samudayo hoti.
사무다요 호띠

Patiloma:
빠띠로마:

Avijjaya tv'eva asesa viraga-nirodha,
아윗자야 뜨웨와 아세사 위라가-니로다
saṅkhārā-nirodho;
상카라-니로도
saṅkhārā-nirodha viññāṇa-nirodho;
상카라-니로다 윈냐나-니로도
viññāṇa-nirodha nama-rūpa-nirodho;
윈냐나-니로다 나마-루빠-니로도

nama-rūpa-nirodha
나마-루빠-니로다
salayatana-nirodho;
살라야따나-니로도
salayatana-nirodha phassa-nirodho;
살라야따나-니로다 팟사-니로도
phassa-nirodha vedanā-nirodho;
팟사-니로다 웨다나-니로도
vedanā-nirodha tanha-nirodho;
웨다나-니로다 딴하-니로도

tanha-nirodha upadana-nirodho;
딴하-니로다 우빠다나-니로도

upadana-nirodha bhava-nirodho;
우빠다나-니로다 바와-니로도

bhava-nirodha jati-nirodho;
바와-니로다 자띠-니로도

jati-nirodha jara-maranam-
자띠-니로다 자라-마라낭-
soka-parideva-dukkha-
소까-빠리데와-둑카-
domanassupayasa nirujjhanti.
도마낫수빠야사 니룻잔띠
Evame-tassa kevalassa
에와메-땃사 께왈랏사
dukkhakkhandassa nirodho hoti.
둑카칸닷사 니로도 호띠

--Paticca-samuppada Sutta,
--빠띳짜-사뭅빠다 숫따,
Samyutta Nikaya, XII (I). 1.
상윳따 니까야, XII (I). 1.

연기의 사슬

앞으로 가는 순서:

무지를 바탕으로 반응이 일어난다;
반응을 바탕으로 의식이 일어난다;
의식을 바탕으로 마음과 몸이 일어난다;
마음과 몸을 바탕으로 여섯 감각이 일어난다;
여섯 감각을 바탕으로 접촉이 일어난다;
접촉을 바탕으로 감각이 일어난다;
감각을 바탕으로 갈망과 혐오가 일어난다;
갈망과 혐오를 바탕으로 집착이 일어난다;
집착을 바탕으로 되어감이 일어난다;
되어감을 바탕으로 태어남이 일어난다;
태어남을 바탕으로 늙음과 죽음이 일어난다;
슬픔, 비탄과 함께,
몸과 마음의 고통과 고난이 일어난다.
이렇게 괴로움 전체가 일어난다.



거꾸로 가는 순서:

무지를 완전히 없애고 멈춤으로써 반응이 멈춘다;
반응이 멈춰서 의식이 멈춘다;
의식이 멈춰서,
마음과 몸이 멈춘다;
마음과 몸이 멈춰서,
여섯 감각이 멈춘다;
여섯 감각이 멈춰서 접촉이 멈춘다;
접촉이 멈춰서 감각이 멈춘다;
감각이 멈춰서,
갈망과 혐오가 멈춘다;
갈망과 혐오가 멈춰서,
집착이 멈춘다;
집착이 멈춰서,
되어감의 과정이 멈춘다;
되어감의 과정이 멈춰서,
태어남이 멈춘다;
태어남이 멈춰서 늙음과 죽음이 멈춘다,
슬픔, 비탄과 함께,
몸과 마음의 괴로움과 고난이 멈춘다.
이렇게 괴로움 전체가 멈춘다.


Aneka-jati samsaram
아네까-자띠 삼사랑
sandhavissam anibbisam
산다윗상 아닙비상
gahakarakam gavesanto
가하까라깡 가웨산또
dukkha jati punappunam
둑카 자띠 뿌납뿌낭
Gahakaraka! Ditthosi.
가하까라까 딧토시

Puna geham na kahasi.
뿌나 게항 나 까하시
Sabba te phasuka bhagga,
삽바 떼 파수까 박가
gahakutam visankhitam.
가하꾸땅 위산키땅
Visankhara-gatam cittam.
위상카라-가땅 찟땅
tanhanam khayamajjhaga.
딴하낭 카야맛자가

--Dhammapada, XI. 8 & 9 (153 & 154).
--담마빠다, XI. 8 & 9 (153 & 154).

셀 수 없이 태어남을 반복하는 윤회에서
나는 이 집을 지은 자를 찾으려고 달렸지만
찾지 못했네;
나는 새로 태어나는 괴로움에 다시 또 다시 직면했다.
오 집을 짓는 자여! 이제 당신을 목격했다.

당신은 나를 위한 집을 짓지 못할 것이다.
모든 기둥은 무너졌고,
대들보는 산산조각이 났다.
마음은 조건화로부터 자유로워졌다:
갈망의 끝에 도달했다.


Khinam puranam navam natthi sambhavam,
키낭 뿌라낭 나왕 낫티 삼바왕
viratta citta ayatike bhavasmim.
위랏따 찟따 아야띠께 바와스밍
Te khina-bija avirulhi chanda.
떼 키나-비자 아위룰히 찬다
Nibbanti dhira yathayam padipo.
닙반띠 디라 야타양 빠디뽀

Ratana Sutta,
라따나 숫따,
Sutta Nipata, II. 1.
숫따 니빠따, II. 1.

과거의 조건이 풀어지고
새로운 조건을 만들지 않으면,
마음은 더 이상 새로운 태어남을 추구하지 않는다.
씨앗은 다 써버렸고 더는 갈망이 일어나지 않는다.
그러한 마음을 가진 현명한 자는
이 등불의 [불꽃]처럼 멈춘다.